이번 포스팅에서는 중소기업의 인력고용과 청년의 취업을 순환시켜 주는 제도인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에는 부담금액 및 기업조건 등에서의 변동사항도 있습니다. 변경된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내용 및 신청방법 및 현재 조건 등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소개
청년내일채움공채란 중소기업에 청년을 채용하며 2년 이상 근무를 유도하며 그 기간 동안 목돈을 마련하게끔 조력하는 장치입니다. 즉, 중소기업에 신규 취업한 청년이 적금식으로 꾸준히 일정 금액을 적립하면 만기 시 그 금액 이상을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와 대한민국 청년의 목돈 마련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2016년부터 시행해 온 제도가 바로 청년내일채움공제입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내용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 시, 청년은 400만 원 납부, 정부는 400만 원을 지원하고, 기업이 400만 원을 지원하며 2년 근속 시 총금액 합인 1200만 원에 이자를 합한 금액을 지급받게 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2023
청년내일채움공제에 가입 가능하신 연령 범위는 대한민국 국민 중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이신 분들이십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는 2023년 기준 개편을 거쳤습니다. 즉, 특정 업종의 중소기업에 재직할 시에만 청년내일채움공제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에 가입 가능한 기업은 5인 이상 50인 미만의 중소기업이며, 업종은 제조·건설업종으로 제한되었습니다. 즉, 제조업, 건설업을 시행하는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들께서 청년내일채움공제에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크게 건설업과 제조업으로 제한됩니다. 또한 청년내일채움공제에 참여하실 수 있는 업종 확인은 고용보험시스템 상 등록된 사업주에 해당하는 업종으로 확인 가능하며, 사업장별로 업종이 다를 경우 청년이 소속한 사업장의 업종을 기준으로 합니다. 단, 악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임금체불 사업주, 중대산업재해 공표 사업장 등은 제외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
청년내일채움공제는 공제 홈페이지 및 청약신청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합니다. 우선 워크넷 참여신청 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청약신청 절차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조건
다음 청년내일채움공제 조건과 납입금액입니다.
먼저 가입하시는 분의 월 급여 총액이 300만 원 이하여야 하며, 중소기업 재직 청년 개인이 2년간 납부하는 금액이 총 400만 원입니다.
즉, 원칙 상 가입 직후 첫 20개월간 월 16만 원씩 납입해야 하며, 이후 4개월간 월 20만 원씩 납입하여 개인이 2년간 총 400만 원을 납부하게 됩니다. 가입 및 근로기간 2년을 채울 시 기업과 국가 차원에서 각각 지원해 주는 400만 원씩을 합산한 1200만 원 이상을 제공받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년내일채움공제 조건과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의 변경사항 등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이전과 대비하여 부담금액 및 업종제한 등의 변동이 생겼기 때문에 가입하실 분들께 참고가 되시길 바랍니다.
'정보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중교통 마스크 해제 실내 마스크 해제 (0) | 2023.03.21 |
---|---|
국민취업지원제도 일경험 프로그램 훈련연계형 및 체험형 (0) | 2023.03.20 |
네이버페이 멤버쉽데이 2023년 3월 (0) | 2023.03.19 |
청년전용창업자금 2023년 청년정책 및 정부창업지원사업사업 (1) | 2023.03.18 |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2유형 신청방법 및 구직촉진수당 (0) | 2023.03.16 |
통밀빵 다이어트 식단 호밀빵 효능 알아봅시다 (0) | 2023.03.15 |
다이어트 간식 서브웨이 다이어트 꿀조합 (0) | 2023.03.14 |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 및 자격, 내일배움카드 사용처 (0) | 2023.03.13 |
댓글